retrofit
-
Remote 레이어란?Clean Architecture 2025. 8. 3. 20:06
안녕하세요 벌써 8월이네요! 여러분은 다음 생에 동물로 태어난다면 어떤 동물로 태어나고 싶나요? 저는 새로 태어나고 싶은데요. 그중에서도 비둘기도, 참새도 아닌 독수리로 태어나고 싶어요. 하늘을 훨훨 날아다니면서 자유를 만끽하고 싶네요. 오늘은 데이터 레이어(data layer)에 의존하는 원격 레이어(remote laye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원격 레이어란?원격 레이어(remote layer)는 원격 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계층입니다.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요청에 대한 응답 처리 및 네트워크 오류 처리를 하게 됩니다. 이때 Retrofit이나 OkHttp같은 네트워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API 호출을 관리하게 됩니다. 구성요소는 DataSourceImplementation,..
-
서버와 통신하기(retrofit)Android 2025. 3. 16. 22:34
띡띡띡... 오늘의 할일 작성 완료! 😎 어? 근데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이 되는걸까?🤔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는 어떻게 저장이 될까요?크게 내부 저장소와 외부 저장소로 나뉠 수 있는데, 데이터양이 많을 경우에 더 적합한 외부 저장소, 즉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이를 위해 retrofit 을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한번 하나씩 파헤쳐 보겠습니다! 1. retrofit 의존성 추가retrofit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련된 의존성을 모듈 단위의 build.gradle 에 추가해야 합니다.implementation("com.squareup.retrofit2:retrofit:2.9.0")implementation("com.squareup.retrof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