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기본 개념 정리Android 2024. 3. 13. 11:51
Repository 를 새로 생성 한 후 폴더의 코드를 git push 하는 경우
1. git remote add origin <github 주소>
add 는 '더하다' 가 아니라 '지정하다' 를 의미한다. 즉, origin 을 github 주소로 지정한다는 말이다. 원래, 깃허브에 로컬에서 짠 코드를 올릴 때는 " git push <github 주소> 코드를 짠 브랜치 이름 " 을 해야 한다. 하지만, 매번 코드를 push 할 때마다 깃허브 주소를 쓰기는 너무 번거로우니, add 명령어를 통해 " origin = github 주소 " 로 통일하자는 의미이다! 해당 명령어 덕분에 이제 " git push origin 올리고 싶은 코드를 작성한 브랜치 이름 " 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 git branch -M main
처음 레포지토리를 생성하면 디폴트 브랜치 이름은 master 이다. 하지만, master 은 노예 제도와 관련된 개념으로 인식되어 디폴트 브랜치의 이름으로는 보통 main 을 사용한다. 따라서, 해당 명령어는 현재 브랜치 명을 main 으로 바꾸겠다는 의미이다! (만약, 이미 브랜치 이름이 main 이라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3. git push -u origin main
이제 로컬에서 원격으로 코드를 올릴때마다 git push origin main(주로) 를 할 것이다! 근데, 이 4단어도 너무 길게 느껴지나보다.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 push 까지만 입력해도 git push origin main 으로 인정해주겠다는 의미이다!
LF will be replace by CRLF 오류
나는 터미널에서 git add 를 할 때 이런 오류가 가끔 난 적이 있다.
LF will be replaced by CRLF
사실 무시하고 넘어가도 지장은 없었는데, 가끔씩 이런 오류가 나서 찜찜해서 정리해보았다.
LF 는 Line-Feed 의 약자로, 줄바꿈 문자열(\n) 을 의미한다. CRLF 는 Carrige Return Line-Feed 의 약자로 줄바꿈 문자열(\r\n) 을 의미한다(커서를 다음 라인의 맨 앞으로 이동하는 동작).
해당 오류의 원인은 OS마다 사용되는 줄바꿈 문자열이 다르기 때문에 git 에서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 할지 몰라 에러 메세지가 난 것이다. 에러를 해결하지 않으면 커밋 내역이나 설정 파일이 이상해질 수 있어 통일하는 것을 추천한다.
세 가지의 명령어 중 하나를 입력하면 된다.
1. git config core.autocrlf true 2.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3.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false
1번의 경우에는 해당 프로젝트만, 2번의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를 적용한다는 의미이다. 3번도 가능한데, 보통 1번 2번을 많이 쓴다. 해당 명령어를 통해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필수 리눅스 명령어
pwd(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내가 작업하는 폴더를 보여주는 명령어
~ 는 Home(홈)이라는 경로이며, 우리가 보는 데스크탑 보다 더 상위의 폴더임
home(홈)과 desktop(바탕화면) 관계 mkdir 폴더명(make directory)
touch 파일명
Git
하나의 폴더 내에서 코드의 변경점을 기록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통제하는 것
Github
백업과 공유가 가능한 온라인 코드 저장소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형변환, 업캐스팅, 다운캐스팅, Is 키워드 (0) 2024.03.15 여러 복합 계산 : 후위연산자, Stack 개념 활용 (0) 2024.03.14 Git 에서 branch 활용하기 (0) 2024.03.12 abstract vs open, 예외 처리 (0) 2024.03.11 CharArray, Zip, Map, Array, Collection (0)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