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과제] 스탠다드반 3주차 특별과제 정리Android 2024. 4. 12. 21:17
해당 영상의 핵심 1. TabLayout 의 TabItem 을 눌렀을때 fragment 를 전환할 수 있다. 2. home 프래그먼트 에 저장된 데이터를 Dashboard 프래그먼트로 넘겨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 Home 프래그먼트 버튼 클릭시) 3. 데이터를 string 형태가 아니라 Data class 의 값을 가져오고, 이를 넘겨주기 위해 parcelable 속성을 사용한다. 해당 xml를 구현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 activity_main.xml
-
[Android] 뷰 바인딩(View Binding)Android 2024. 4. 11. 21:03
우리는 기존에 액티비티에서 xml 로부터 뷰를 참조할때 findViewById 를 이용해왔다. Button 을 누르면 해당 TextView 가 "버튼이 눌렸습니다!" 로 바꿔보는 기존 코틀린 코드는 아래와 같다.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val btn = findViewById(R.id.myButton) val mytext = findViewById(R.id.myTextView) btn.setOnClickListener { myt..
-
[문법] Activity에서 Fragment를 화면에 나타내기Android 2024. 4. 8. 20:51
fragment 를 구현하는 아주 기본적인 예시이다.공식 문서만 읽고서는 이해가 힘들어 구글링을 통해서 남들이 쉽게 정리한 내용을 더 찾아보았고 그제서야 이해가 되었다. Activity 안에는 Fragment를 여러개 포함할 수 있다.Activity 에서 FrameLayout 을 통해 프래그먼트가 나올 수 있는 영역을 지정해준다. // activity_fragment.xml 이후 FragmentActivity 에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해준다.// FragmentActivity.ktclass FragmentActivity : AppCompatActivity(R.layout.activity_fragment) { private val binding by lazy { Activi..
-
[협업] 팀원 레포지토리를 내 깃허브로 가져오는법Android 2024. 4. 5. 21:25
이번 주차동안 팀 프로젝트가 완료되었다! 다른 팀원의 레포지토리에서 처음 프로젝트를 생성했는데, 내 레포지토리로 가져오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일단, 배경화면에서 git bash 터미널로 이동한 다음 터미널 창을 연다. git clone --mirror cd 파일 git remote set-url --push origin git push --mirror 해당 명령어로 내 깃허브 주소로 가져올 수 있다! 이때 --mirror 의 의미가 궁금했는데 mirror = 인 것 같다! (정확하진 않다.) 마지막으로 부트캠프 첫번째 프로젝트 마무리로 사진 하나 남기고 오늘 포스트 마무리!
-
[UI] Dark 모드 구현해보기Android 2024. 4. 4. 17:59
Dark 모드 구현 과정 애뮬레이터로 앱 들어가기 전에 설정 > 디스플레이로 이동하면 다크 모드를 키는 버튼이 있다. 이때, 다크 모드를 키게 되었을때 앱에서 UI의 색깔을 바꿔주려면 2가지 작업을 해야한다. 1. colors.xml에 대한 다크모드 만들기 이렇게 기존에 values가 있고, values-night 이라는 새로운 폴더가 생성된다. 위에서 File name을 지정해주면 안에 colors.xml 파일이 생성된다. 해당 values 에 있는 colors.xml 파일을 values-night 파일의 colors.xml에다가 그대로 복사 붙여 넣기하면되고, 여기서 Dark 모드로 변환했을때 보이고 싶은 색깔로 변경해주면된다! (보통 보색관계로 지정한다) 단, 이름은 변경하지 않는다. 하지만, co..
-
위젯에 그림자 효과 주기Android 2024. 4. 2. 23:13
그림자 만드는 방법 elevation shadow 리소스 직접 만들기 elevation 안드로이드에서는 elevation 속성을 이용해 그림자 효과를 낸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elevation 속성이 먹지 않는다. 그림자가 생길 여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elevation 속성을 설정할 위젯에 margin을 줘야한다. 위젯의 background 속성에 대해 색깔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 색깔을 지정해줘야 그림자가 생긴다. 부모 컴포넌트가 padding을 가지고 있으며 이 외의 별도 공간을 확보하지 않았다면, clipToPadding을 false로 지정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elevation 속성으로 넣어주는 dp 값은 뷰의 z축, 즉 '높이'를 의미한다. 그래서 dp 값이 높은 요소가 더 앞에 배..
-
첫번째 팀플 - 트러블 슈팅 모음집Android 2024. 4. 1. 23:23
트러블 슈팅01 오늘은 프로젝트 주차 첫번째 날이다! 팀원분이 올린 깃허브 레퍼지토리에 있는 코드를 git clone 을 통해서 가져오고 파일을 열었는데 밑에 빨간색 줄이 뜨면서 에러가 발생했다. The project is using an incompatible version (AGP 8.3.0) of the Android Gradle plugin. Latest supported version is AGP 8.2.2 Android Gradle plugin이 안맞는다. [Android] Gradle sync failed: The project is using an incompatible version (AGP 7.3.0) of the Android Gradle plugin. Latest supported ..
-
Activity LifeCycle, Activity StackAndroid 2024. 3. 29. 23:16
Activity LifeCycle 액티비티는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 중 하나로, UI 구성을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액티비티의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다. MainActivity.kt activity_main.xml 우리는 이러한 특성을 지닌 액티비티의 생명주기를 알아볼 것이다. Activity Lifecycle Callback Method 이름 특징 예시 onCreate() - 시스템이 액티비티를 생성할 때 실행됨 - 해당 콜백 메소드는 오버라이딩을 해서 구현해야 함 - 액티비티 전체 수명 주기 동안 딱 한번만 동작됨 - 값 초기화나 시작 로직을 실행 onStart() - 액티비티가 onCreate() 를 호출한 뒤 'STARTED' 상태에 진입 시 호출 - 해당 메소드가 호출되면 액티비티가 ..